본문 바로가기
부자의 길: 아파트·재테크

주식시장에서 좋은 종목을 발굴하기 위한 재무제표 분석 2가지 (PER, ROE)

by 꿈꾸는부부 2023. 3. 8.

재무제표 분석은 주식시장에서 좋은 종목을 발굴하기 위한 첫 단추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표들을 이해하면 기업의 재무 건강상태와 미래 성장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쉽게 알아보기 위해서 재무제표에서 꼭 봐야 할 2가지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PER (Price-to-Earnings Ratio)

주가수익비율을 뜻하며, 기업의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ER은 "한 주당 주가를 그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PER이 낮을수록 주식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ER이 5이고, 주가가 5000원이라면 해당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이익은 한 주당 1000원 (=5000원 ÷ PER 5)가 됩니다. 그러므로 시장에서는 이 회사가 1년 동안 주당 1000원의 이익을 내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 선택한 회사가 1년 동안 주당 1500원의 이익으로 증가가 된다면, PER은 3.33으로 낮아지고, 반대로 500원의 이익만 낸다면 PER이 10으로 높아집니다.

 

따라서 PER은 그 회사가 현재 시장에서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이때 주의할 점은 그 업종의 다른 기업의 평균값을 알아야 합니다. PER이 5이라고 하더라도 같은 업종의 평균값이 2라면 그 기업은 기업보다 주식가치가 높게 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무조건 낮은 PER는 회사의 실적이 좋지 않은 것이나, 주식시장에서 무엇인가 문제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PER만으로 회사의 실적을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다음의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을 해야 합니다.

 

2. ROE (Return on Equity)

자기 자본이익률을 뜻합니다. "한 회사의 이익 중에서 주주들에게 분배되는 이익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으면 그 회사가 주주들에게 더 많은 이익을 돌려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회사가 기업의 이익을 높이기 위해 효율적으로 자본을 운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ROE도 PER처럼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ROE가 5%이고, 주가가 5000원이라면, 해당 회사가 1년 동안 주주들에게 배당한 순이익은 한 주당 250원 (=5000원 x ROE 5%)이 됩니다. 이 회사의 ROE가 5%라는 것은 즉, 해당 회사의 순이익 중 자본에 대한 순익률이 5%로 예상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와 ROE를 합께 보면, 투자자들은 해당 회사의 주식을 구매해도 연간 5%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은행이자가 최근엔 3~4%까지 올랐는데, 이보다도 높은 수치입니다.

 

하지만 ROE도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ROE가 높은 회사라고 해서 항상 수익성이 높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ROE는 단순히 자본에 대한 수익률만을 나타내기 때문에, 그 회사가 부채를 많이 가지고 있거나, 높은 이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면 ROE가 높아도 실제로 수익성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E를 분석할 땐 회사의 부채와 이자부담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좋은종목-발굴하는법-주식-썸네일
좋은 종복 발굴 썸네일

오늘의 결론

오늘은 PER과 ROE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재무제표 분석이라고 해서 머리가 아프셨던 분도 있고, 이거만 알면 좋은 주식을 고를 수 있을까?라고 생각하신 분들도 있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설명에도 써둔 것처럼 모든 지표들은 복합적으로 같이 봐야 합니다. 한 개의 지표로만 좋은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너무 큰 희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도 다음시간에 이어서 몇 가지 좋은 분석자료를 알려드릴 테니, 그것들을 함께 복합적으로 분석을 한다면 좋은 종목을 고르는 것이 더 쉬워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