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 장 보고서’가 중요한가?
요즘 보고서 작성할 일이 많아졌는데, 어떻게 보고를 하면 좋을까를 고민하다가 일게된 책이 있습니다.
박신영 작가의 『한 장 보고서의 정석』은 “보고서는 길게 쓰는 게 아니라, 한 장에 핵심만 담아야 한다”는 현대 조직의 실전 니즈에 딱 맞는 책입니다.
보고서가 ‘까이는’ 이유는 대부분 핵심, 구조, 팩트, 액션 플랜이 빠지기 때문입니다.
한 장 보고서, 어떻게 써야 할까? (보고서 작성의 순서)
1. 핵심 파악 – 가장 중요한 메시지부터 정리
“이 보고서를 왜 쓰는가?” “상사가/피보고자가 가장 궁금해하는 것은 무엇인가?” 결론, 제안, 요청 등 핵심 한 문장을 먼저 정리합니다.
육하원칙(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으로 요약해도 좋습니다.
2. 구조화 – 상대방이 이해하기 쉬운 흐름 만들기
문제-원인-해결-효과 또는 결론-근거-진행 구조로 씁니다.
문제-원인-해결-효과는 상황→문제→원인→해결/제안→효과 순서이고,
결론-근거-진행은 결론→근거/사례→진행/요청 순서입니다.
보고서 목적과 상황에 따라 배경부터 설명할지, 결론부터 말할지 정합니다.
상대방의 ‘질문 순서’에 맞춰 목차를 짜는 게 핵심입니다.
3. 짧고 명확한 문장으로 작성
개조식(번호, 불릿 등)으로 짧게 씁니다.
숫자, 표, 그래프 등 시각 자료 활용, 구체적 데이터와 근거 제시, 불필요하게 어렵지 않게, 핵심 키워드는 굵게/밑줄 등으로 강조합니다.
필요하면 중간보고, 상사 지시 확인 등 ‘보고 센스’도 중요합니다.
실전 예시: 한 장 보고서 작성 순서
1. 제목: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2. 핵심 한 문장: 결론 또는 제안
3. 상황/문제: 왜 이 보고서를 쓰는가
4. 원인/근거: 데이터, 사례, 분석
5. 해결/제안: 구체적 액션 플랜
6. 예상 효과: 기대 결과, 수치, 변화
7. 요청사항: 결재, 승인, 협조 등
실전 예시
핵심 한 줄 요약:
A 프로젝트 일정 지연의 원인은 자원 부족이며, 인력 2명 추가 투입을 제안합니다.
문제-원인-해결-효과:
[상황] 프로젝트 일정 2주 지연
[문제] 핵심 인력 이탈
[원인] 인력 재배치 미흡
[해결] 2명 추가 투입 제안
[효과] 1주 내 정상화 예상
마무리
『한 장 보고서의 정석』은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니라, 상대방이 궁금해하는 것을 핵심만, 구조적으로, 짧고 명확하게” 정리해야 한다는 보고서 작성의 실전 원칙을 알려줍니다.
보고서가 자주 ‘까이는’ 분, 한 장에 임팩트 있게 정리하고 싶은 분께 꼭 추천하는 책입니다.
'책속의 길: 내가 읽은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 송길영 지음 (2) | 2024.12.12 |
---|---|
콘크리트 유토피아 영화 300만 관객 돌파 (0) | 2023.08.25 |
공부머리 독서법 - 최승필 지음 (0) | 2023.06.13 |
역행자 확장판 자청, 1단계 자의식 해체하기 (1) | 2023.06.09 |
[북리뷰] 개미 5년, 세후55억 가장이기에 투자에 진심인 어느 아빠의 주식투자 이야기 (0) | 2023.03.19 |
댓글